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건축·재개발15

강동구 대장 아파트 : 그라시움&아르테온 (feat. 라이징스타 래미안솔베뉴) 이번 포스팅에서는 강동구의 대장아파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고덕주공 2단지 재건축인 그라시움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 자료는 2021년 제가 최초로 조사를 시작했던 시기와 2023년 현재의 자료를 비교하 보겠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대장 아파트 시세 조사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습니다. (1) 세대수: 500세대 이상 (2) 면적: 국평 84m² (34평) (3) 경과년수: 준공 10년 이내 일반적으로 모두가 살고 싶어 할 만한 신축 아파트에 세금이나 규모 면에서 가장 합리적인 34평, 그리고 500세대 이상은 되어야 단지라는 이름에 걸맞다고 생각해서 설정하였습니다. 일부 해당 조건이 없는 지자체의 경우는 조건을 조금 완화하였습니다. 서울시 대장아파트 조사 시작: 서울시 25개 구 구분 .. 2023. 6. 5.
GS건설, 자이: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 건축 분석과 아쉬움 지난 2023년 1월 14일, 상계주공 5단지 재건축 시공사 선정 소식이 있었습니다. 계속되는 유찰로 결국 수의계약으로 GS건설이 선정되면서 상계동의 첫 자이 브랜드가 론칭되겠습니다. 지난 2020년 서울시는 성냥갑처럼 천편일률적인 아파트에 창조적인 디자인을 적용한 도시·건축혁신 시범사업지 2곳을 선정했습니다. 즉, 상계주공5단지는 서울시 도시건축 혁신방안이 처음 적용되는 '서울형 재건축'으로 시행됩니다. 보편적으로 공공과 함께 사업을 시행한다는 것은 지나친 간섭으로 산으로 가기도 하는데요. 앞으로의 행보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재건축은 오랜만에 신탁사 방식으로의 진행이기도 합니다. 2021년 5월, 상계주공 5단지는 사업시행자로 '한국토지신탁'을 신탁사로 지정하였습니다. 1:1 재건축에 가까운.. 2023. 4. 6.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구미 형곡4주공 재건축, 힐스테이트 구미 더클래스 지난 2023년 2월 26일, 경북 구미에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재건축 수주 소식이 있었습니다. 2022년 9월과 10월, 두 차례의 입찰에 모두 현대건설 단독입찰로 유찰되었고 최종적으로 수의 계약 방식으로 현대건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되었습니다. 아무래도 경기가 안 좋아지고 지방 부동산 경기가 하락세에 있어서 유찰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부산, 대구가 아닌 구미에서 수주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잘 몰랐는데 경북도내에서는 구미가 도시정비 추진이 가장 활발하다고 합니다. 경북 구미에서 주거 선호도가 가장 높은 구도심이자 '구미의 강남'이라고 불리는 입지라고 하는데요. 첨언을 하자면 형곡4주공 지역은 거북이 모양으로 계획된 구역으로 각종 인프라 잘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2021년 6월 정비구역 지정, 2022.. 2023. 3. 27.
포스코건설, 더샵&오티에르: 서초 방배신동아 재건축, 평촌 초원세경 리모델링 외 2건 수주 2023년 2월 말 기준으로 포스코건설이 도시정비(재건축과 재개발 등) 수주금액 1위를 달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해당 내용은 뉴스를 통해서 검색해 보았고 정확한 수치는 아님을 미리 말씀드립니다.http://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1361 ‘도시정비 질주’ 포스코건설, 역대급 기록 도전 - 파이낸셜투데이포스코건설의 질주가 무섭다. 포스코건설이 올해가 시작된 지 2개월 만에 1조원을 훌쩍 넘는 도시정비 수주를 올렸다. 역대 최고 기록을 썼던 지난해보다 빠른 속도로 2월 말 기준 주요 대형 건www.ftoday.co.kr 기사에서 발췌하고자한 내용은 수주 내용입니다. 서초 방배신동아아파트 재건축(3746억원), 평촌 초원세경아파트 리모델링(2446.. 2023. 3. 16.
재건축 재개발 - 서울시 스카이브리지 가능할까? 스카이브리지란? 스카이브리지(sky bridge) 혹은 공중다리, 하늘다리라고도 할 수 있는 건축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건물과 건물 사이를 연결해 주는 공중에 떠 있는 연결통로 보시면 되겠는데요. 공동주택에서의 스카이브리지는 주로 아파트 주동 최상층을 연결하여 라운지와 하늘정원을 꾸며놓는 공간으로 많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울시에 준공된 스카이브릿지 사례는 래미안 첼리투스와 서초 푸르지오 써밋이 있습니다. 하지만 2개의 사례 모두 주동 최상층은 아니고 중간층, 중상층 정도에 설치되어 있으며 통로 및 간단한 테이블과 의자정도가 있는 휴식공간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스카이브리지는 시공사에서는 크게 2개로 나누고 있습니다. (1) 스카이 워크(Sky walk) / 스카이 가든(Sk.. 2023. 2. 26.
재건축 재개발 - 아파트 지하주차장과 미래 (시공사 제안사항 유의사항) 아파트의 미래를 상상해 보다 1970년대 아파트에 살던 사람들이 지금 2020년대 아파트를 상상이나 해봤을까요? 지금 우리는 어떤 미래를 상상해 보면 좋을까요? 이번 포스팅은 구체적인 내용도 포함하지만 미래의 주거(아파트)와 공간들에 대해 각자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구글에 아파트의 미래를 검색해 보시면 많은 상상들이 주거의 고층화와 지상의 녹지화입니다. 앞으로의 주거 방향은 AI, 드론, 자연, 인구, 이동식 주거 등이 변화를 이끌어 갈 것으로 보입니다. 아파트는 우리나라에서만 유별나게 발전했습니다. 급격히 발전을 하느라 그랬다거나 땅이 좁은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그랬다는 논리도 있지만 결국 자본주의 시장에서 아파트는 자본(돈)으로써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돈이 되는 아파.. 2023.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