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05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 오세훈 시장의 한강 사랑 그리고 35층 폐지로 수혜를 보는 아파트는 어디일까 지난 2022년 3월 3일 서울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에서 오세훈 시장의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6가지입니다. 6대 공간계획 (1) 보행 일상권 도입 (2) 수변 중심 공간 재편 (3) 중심지 기능 강화로 도시경쟁력 강화 (4) 다양한 도시모습, 도시계획 대전환 (5) 지상철도 지하화 (6) 미래교통 인프라 확충 서울시가 앞으로 추진할 계획들의 최상위 계획의 지침이 되는 공간계획이자 향후 20년간 서울이 지향할 도시공간의 미래상을 담은 장기계획입니다.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 이에 맞춰 필요시 법규도 개정할 생각인 거죠. 이번 계획은 2014년에 수립된 '2040 서울플랜'을 대체하는 계획입니다. 아무래도 정권도 바뀌고 서울시장도 바뀌었으니 전 .. 2023. 3. 20. 2021년 1월 8일 법규개정: 실외기실 실내공간화를 위한 바닥면적 산입 제외 의 건(도시 경관적인 목적) 2021년 1월 8일, 실외기실 바닥면적 관련 개정된 건축법 시행령이 개정되었습니다. 정확한 국토교통부의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에어컨 실외기를 건축물 내부에 설치 시 세대당 1m² 까지 바닥면적에서 제외합니다.' 2023년에 와서 변경된 정책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건축과 정책의 방향이 일관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을 다시금 돌아보기 위함입니다. 안전과 도시경관, 합리적인 제안과 막을 수 없는 수요를 긍정적으로 풀어내려는 노력이 보입니다. 2021년의 실외기실 바닥면적 제외의 건 또한, 설치 기사 추락사건이나 실외기실을 난간앞에 설치하면서 발생하는 도시적 경관 저하 등의 이유로 진행되었던 법규 개정입니다. 참고로 이 포스팅은 실무적인 도움이 드리고자하는 글은 아닙니다. 건축 전공자.. 2023. 3. 17. 포스코건설, 더샵&오티에르: 서초 방배신동아 재건축, 평촌 초원세경 리모델링 외 2건 수주 2023년 2월 말 기준으로 포스코건설이 도시정비(재건축과 재개발 등) 수주금액 1위를 달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해당 내용은 뉴스를 통해서 검색해 보았고 정확한 수치는 아님을 미리 말씀드립니다.http://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1361 ‘도시정비 질주’ 포스코건설, 역대급 기록 도전 - 파이낸셜투데이포스코건설의 질주가 무섭다. 포스코건설이 올해가 시작된 지 2개월 만에 1조원을 훌쩍 넘는 도시정비 수주를 올렸다. 역대 최고 기록을 썼던 지난해보다 빠른 속도로 2월 말 기준 주요 대형 건www.ftoday.co.kr 기사에서 발췌하고자한 내용은 수주 내용입니다. 서초 방배신동아아파트 재건축(3746억원), 평촌 초원세경아파트 리모델링(2446.. 2023. 3. 16. 아키플랜: 김창열 미술관(Kim Tschang-Yeul Art Museum) in 제주, 2014년 국제 현상공모 진행 후 2016년에 준공한 좋은 건축물 2014년 보기 드문 국제 공모당선작이 있었습니다. 건축설계 현상공모라고 하면 항상 화려하고 자극적인, 웅장한 건축물이 많이 등장하고 사대주의적 성향에 의해 외국 작가(건축가)들이 당선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그 당시 아주 세련되고 심플한 국내 건축가의 작품이 선정이 되었습니다. 바로 제주도립 김창열 미술관입니다. 김창열 미술관 당선작(아키플랜, 2014) 미술관은 본디 창이 없고 조용한 공간에서 인위적인 조명으로 미술품에 집중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미술 관람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대부분 쉴 수 있는 의자도 없고 하얀 벽에 작품을 걸고 강한 집중 조명으로 미술품을 강조시킵니다. 전시장에서 전시장으로 이동하는 동선 상에도 의도적인 공간이 아니면 대부분 자극적이거나 특별한 공간 .. 2023. 3. 15. MVRDV: 건축 컨셉과 Green Villa 작품 오늘은 제가 좋아했던 네덜란드 건축가들 MVRDV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좋아했다는 건 데이터스케이프(Datascape)이라는 컨셉이 확실했던 시절의 과거완료형이죠. 데이터스케이프(Datascape)는 건축물을 계획할 때 주변 환경의 데이터를 창의적 도구로 사용하는 획기적인 방법입니다. 물론 지금도 MVRDV는 잘하고 있지만 유사한 건축가들이 늘어나면서 돋보였던 시절은 지나가버렸습니다. 한국에서 MVRDV를 만나는 방법은 서울로 7017이 있습니다. 이 건축가들이 잘하는게 건축과 자연, 그리고 건축과 도시의 문제를 조화롭게 해결하려는 접근법입니다. 서울역 고가도로를 녹지 가득한 보행로로 바꿀려는 야심찬 계획의 ‘서울로 7017’이었죠. 뉴욕의 하이라인 파크처럼 바뀌길 바랬지만 환경적이거나 .. 2023. 3. 14. Curtainwall-look: 진짜 커튼월과 아파트의 커튼월룩 차이점, 가격, 변경 가능 시기 이번 포스팅은 커튼월과 커튼월룩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건축물을 보면서 몇 번 들어봤을 법한 단어, 커튼월(Curtain Wall)입니다. 커튼월이라는 단어에서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저는 처음 이 단어를 듣고 뭔가 찰랑찰랑 거리는 하얀색 커튼이 건물에 달려있어 바람에 따라 건물의 모양이 달라지는 그런 걸 상상했었는데요. 사실은 조금 다릅니다. 또한, 주변에서 흔히 들어볼 수 있는 단어이지만 그 정확한 용도와 의미, 그리고 가끔씩 들려오는 커튼월룩(Curtain Wall Look)이라는 단어도 있습니다. 많이 헷갈리고 소문에는 효율이 떨어지고 냉난방에 불리하다는 이야기도 듣고 했을 텐데요. 그러한 내용들을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기본적인 용어의 의미와 사례, 그리고 아파트에 적용 사례.. 2023. 3. 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다음 반응형